국가소유 문화유산 위탁관리

9d143ec61f6b12d740c157a2749766d6.jpg
97a77c94a9bc9e75c27d20fd9c165c91.jpg
4a93e7f58b816e68fc0c1cb3ff03ca1d.jpg
4c0778aaefbc10f4f0d24f2ceb0c167e.jpg
3eaaeaa8e61f2b21d902954b04c9f79e.jpg
19a94eaa4acec2ebf9d14c6666541a48.jpg
f6a55911c218f9b039058381cdf0723f.jpg
2ea91205dce634eb5811b6aac47dcac2.jpg
97043131db93cca1e0173d06fdefdffb.jpg
731c9246b0406994f8f9b1acff8199dd.jpg
ee36da885e983cde29c94d19e0c6efce.jpg
44359b4c055b6981118c7e5042b13e11.jpg
735262ee5d518bd3a0c73d162f12101f.jpg
103616bc4de8c10711d51bcf7a676a16.jpg
96f5f34de498e19eea17785cf4471744.jpg
5e9f29d3bba6ec203deaabd8f48e0077.jpg
9d143ec61f6b12d740c157a2749766d6.jpg
97a77c94a9bc9e75c27d20fd9c165c91.jpg
4a93e7f58b816e68fc0c1cb3ff03ca1d.jpg
4c0778aaefbc10f4f0d24f2ceb0c167e.jpg
3eaaeaa8e61f2b21d902954b04c9f79e.jpg
19a94eaa4acec2ebf9d14c6666541a48.jpg
f6a55911c218f9b039058381cdf0723f.jpg
2ea91205dce634eb5811b6aac47dcac2.jpg
97043131db93cca1e0173d06fdefdffb.jpg
731c9246b0406994f8f9b1acff8199dd.jpg
ee36da885e983cde29c94d19e0c6efce.jpg
af39ec1729184ce380904d1d5e26e4cd.jpg
735262ee5d518bd3a0c73d162f12101f.jpg
103616bc4de8c10711d51bcf7a676a16.jpg
96f5f34de498e19eea17785cf4471744.jpg
5e9f29d3bba6ec203deaabd8f48e0077.jpg

근대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등록문화재. 조정래 작가의 소설 '태백산맥'의 무대로 등장한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현장.

조정래 작가의 대하소설, ‘태백산맥’ 속 ‘남도여관’이란 이름으로 더 친숙한 ‘보성여관’은 소설에서처럼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시대적 상황을 기억하는 근현대 삶의 현장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억의 장소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그 시절, 이 건물은 여관이었고, 그때의 실제 상호는 ‘보성여관’이었다.
당시 교통의 중심지였던 벌교는 일본인의 왕래가 잦아지며 유동인구가 증가했고, 그 역사의 중심에 있던 ‘보성여관’은 당시의 5성급 호텔을 방불케 할 정도의 규모였다고 한다. 근현대 벌교의 역사문화환경을 형성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보성여관’은 2004년 역사 및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다. 2008년 문화유산국민신탁은 보성여관의 관리단체로 지정되었으며, 2년간의 복원사업을 거쳐 2012년 6월 7일 예전 모습을 되찾은 ‘보성여관’을 새롭게 개관하게 되었다. 새롭게 복원된 보성여관은 벌교와 보성여관의 역사를 담고 있는 전시장과 차와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휴식공간인 카페, 다양한 문화체험의 공간인 소극장, 그리고 소설 속 남도여관을 느낄 수 있는 숙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층은 다목적 문화체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다다미방이 있다.


소재지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태백산맥길 19
면적 대지 529㎡ (건축면적331.57㎡,연면적 416.10㎡)
내용 소설 '태백산맥'의 무대 등
활용 숙박체험, 카페, 복합문화예술공간 운영
연혁 1935년 강활암 건립
2004년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2008년 문화재청 보성여관 매입
2008년 문화유산국민신탁 등록문화재관리단체 지정
2009년~2011년 해체 보수공사
2012년 개관
이용시간 평일/주말 오전 10시~오후5시
매주 월요일 휴관
0bfa62edca7c823e670b357acf9eb19b.jpg
4e9770477e087ffcd8198605cd6a80d8.jpg
f7065bbd7e1d43c47edac9ffa194fec3.jpg
794d29af72f7de3fba028a29a3662148.jpg
0bfa62edca7c823e670b357acf9eb19b.jpg
4e9770477e087ffcd8198605cd6a80d8.jpg
f7065bbd7e1d43c47edac9ffa194fec3.jpg
794d29af72f7de3fba028a29a3662148.jpg

1910년대에 일본인 제재업자(製材業者)이자 고리대금업자인 사카모토 나이지로(坂本來次郞)가 건립한 일본식 주택이다.

건축면적 100㎡, 연면적 160㎡ 정도 규모의 2층 건물이다. 다다미가 깔린 2층 방에 도코노마(방의 바닥을 한 단 높게 만들어 족자나 꽃을 장식할 수 있게 한 곳)가 그대로 남아 있는 등 건축 당시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일제의 울릉도 침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자료로, 울릉도 도동의 중심부에 위치해 접근성이 쉬우며 근대 주택사 연구에도 가치 있는 건축물이다. 2006년 ‘울릉도 도동리 이영관 가옥’으로 문화재 등록 명칭이 되었으나 2008년 문화재청에서 매입하여 역사인물 문화재를 제외하고는 인물의 이름을 쓰지 않는 ‘등록문화재 명칭 부여 기준’에 따라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으로 변경하였다.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142번지 외 1필지에 있다.

소재지 경상북도 울릉도 울릉읍 도동1길 27
면적 대지 506㎡ (건축면적 128.02㎡, 연면적 188.02㎡)
내용 1900년 건립된 울릉도 근현대생활공간
활용 울릉역사전시관, 카페, 커뮤니티공간 운영
연혁 2006년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2008년 문화유산국민신탁 관리단체 지정
2009년~2010년 복원공사
2011년 일반공개
78cb11fe2a08d09788b9dd350eae1927.jpg
db8d5c8a99f1bcaa3a6710108c104eb4.jpg
728b1af64168fbba9ab249d8e93fb804.jpg
b769ee9e6195265a8b0eb033f7a8a767.jpg
89e3c7f3e19e73f3a67f69e0c772456d.jpg
c20d74690db946968524897111a294e4.jpg
f3c9c2bc6dbeb5de8db3eddcbdb889b9.jpg
2b7de838a7fbad583a6f8ac02b1e52d4.jpg
7f3099dcd7428b5cae69df08f7261005.jpg
5e86a689ab1f4f56e49553cc9a6c798c.jpg
ddce2730d9cf3dee1ae7c86a5c5bb5f8.jpg
2b242303d1a0e25f424a3df81e2cfe01.jpg
e13a21bc2abb455c4ded89c2d95eaa3d.jpg
78cb11fe2a08d09788b9dd350eae1927.jpg
db8d5c8a99f1bcaa3a6710108c104eb4.jpg
728b1af64168fbba9ab249d8e93fb804.jpg
b769ee9e6195265a8b0eb033f7a8a767.jpg
89e3c7f3e19e73f3a67f69e0c772456d.jpg
c20d74690db946968524897111a294e4.jpg
f3c9c2bc6dbeb5de8db3eddcbdb889b9.jpg
2b7de838a7fbad583a6f8ac02b1e52d4.jpg
7f3099dcd7428b5cae69df08f7261005.jpg
5e86a689ab1f4f56e49553cc9a6c798c.jpg
ddce2730d9cf3dee1ae7c86a5c5bb5f8.jpg
2b242303d1a0e25f424a3df81e2cfe01.jpg
e13a21bc2abb455c4ded89c2d95eaa3d.jpg

문화공감 수정은 일본식 주택으로, 2007년 7월 3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39년에 지은 일본식 목조 2층의 기와지붕 건물이며 일본 무사 계급의 전형적인 주거 양식인 쇼인즈쿠리(書院造)라는 건축 양식을 나타낸다. 액자를 걸거나 도자기를 진열하기 위해 만든 2층의 도코노마를 비롯한 내부 공간, 목조 가구, 정원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1층과 2층 사이에 반2층의 공간을 두어 문간방 역할을 하도록 한 것도 특징이며, 어른 키를 훌쩍 넘는 석축은 돌 가장자리를 따라 한 번 더 다듬은 뒤 고급스러운 모접기 방식으로 쌓아 올렸다. 그 외에 꽃장식의 일본식 석등, 건물 모서리의 화려한 장식 등이 일제강점기 부산 지역 고급 주택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근대기 주택 건축사의 자료로 가치가 높다.

소재지 부산시 동구 홍곡로 75
면적 대지 660㎡ (건축면적332.7㎡)
내용 부산의 대표적인 고급 일본식 가옥
활용 근대생활사 전시관 등
연혁 1943년 현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신축
2011년 문화재청 매입
2011년 문화유산국민신탁 관리단체 지정
2013년~2016년 보수정비
2016년 개관
e4c317fb08912eecc0970775c8fcd262.jpg
0e0733fe3601863f6b30adff232ed384.jpg
127272122bb20aa6ee30bdc759ae93b1.jpg
4b2e4914e46455ef157d03a6c6818fe0.jpg
ff14ff668153934b7ac19a0125da70fa.jpg
5da984646244aa75be1b8268f44219f3.jpg
3b316c24daa13f7f0e12573dcb4a219f.jpg
2b9bee6f83ff3306c058950ff00e34e9.jpg
5fd16d9e751ed6e194576d06e6f89c88.jpg
39fefe53972080f90d000eb316e52521.jpg
5324c94914aea2786edc1f58e48d6c32.jpg
37dd017849a8fc99c5cc7abbb6d70644.jpg
ee830c161c4f31545188baef49cbaf47.jpg
690101875537ffb81ee081fc78c7cae8.jpg
e4c317fb08912eecc0970775c8fcd262.jpg
0e0733fe3601863f6b30adff232ed384.jpg
127272122bb20aa6ee30bdc759ae93b1.jpg
4b2e4914e46455ef157d03a6c6818fe0.jpg
ff14ff668153934b7ac19a0125da70fa.jpg
5da984646244aa75be1b8268f44219f3.jpg
3b316c24daa13f7f0e12573dcb4a219f.jpg
2b9bee6f83ff3306c058950ff00e34e9.jpg
5fd16d9e751ed6e194576d06e6f89c88.jpg
39fefe53972080f90d000eb316e52521.jpg
5324c94914aea2786edc1f58e48d6c32.jpg
37dd017849a8fc99c5cc7abbb6d70644.jpg
ee830c161c4f31545188baef49cbaf47.jpg
690101875537ffb81ee081fc78c7cae8.jpg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은 조선 후기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인 동춘당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의 둘째 손자인 송병하(宋炳夏, 1646~1697)가 1674년 분가하여 건립한 고택으로서 송병하의 아들 소대헌 송요화(宋堯和, 1682~1764)가 1714년 이축하였다.

고택은 조선 중기 대전지역의 살림집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충청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큰사랑채와 작은사랑채를 동시에 갖추고 큰사랑채가 양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청을 한 쪽에 두는 방식이나 안채의 마루방과 툇마루 등이 전면 뿐 아니라 사방에 다양한 크기로 배치하는 양식은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소재지 대전시 대덕구 송촌동 198-3, 198-4
면적 대지 982㎡,1831㎡ (건축연면적 : 2,813㎡)
내용 원형복원 및 활용확대를 위한 보수공사 추진
활용 문화재에 대한 구체적 활용계획수립추진
연혁 2014년 관리단체 지정
2015년 복원 및 보수공사
2016년 개관
6a70d0f355f7dbdfb64fcc8da5c9fb0e.jpg
832cc2e353bc3b53c45aa0141c76242e.jpg
3dda57d1a70c15f85901585608faf15d.jpg
7fea256d253607dde29662622e326ab8.jpg
6a70d0f355f7dbdfb64fcc8da5c9fb0e.jpg
832cc2e353bc3b53c45aa0141c76242e.jpg
3dda57d1a70c15f85901585608faf15d.jpg
7fea256d253607dde29662622e326ab8.jpg
대한제국의 운명이 갈린곳 덕수궁 重明殿

‘광명이 계속 이어져 그치지 않는 전각’이라는 뜻의 덕수궁 중명전(重明殿)은 1897~1899년경 황실도서관으로 탄생했다. 러시아인 사바찐에 의해 설계된 서양식 전각 중명전은 근대문물 수용에 앞장섰던 고종(광무황제)의 의지가 담겨 있다. 원래의 이름은 수옥헌(漱玉軒)이었으나, 1904년 경운궁(덕수궁의 옛 이름) 화재 이후 고종이 이곳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면서 중명전이란 이름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을사늑약을 증언하는 중명전

1905년 11월 18일 새벽, 중명전에서 치욕적인 <을사늑약>이 강제된다. 일제는 군대를 동원하여 중명전을 침범하고 고종과 대신들을 협박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주권 회복을 위한 대한제국의 투쟁

<을사늑약> 이후 주권 회복을 위한 대한제국의 민족적 투쟁이 시작되었다. 고종은 대한제국과 수호조약을 체결한 각국의 원수들에게 친서를 보내어<을사늑약>이 무효임을 알렸다. 전국 유생들은 항일 상소운동을 벌였으며, 민영환·조병세 등은 자결로서 항거했다. 종로거리의 모든 상점들은 문을 닫고, 학생들도 자진 휴교하였다. 또한 전국에 의병이 조직되어 민종식, 최익현 등 각지의 많은 유생들이 의병 운동을 일으켰으며,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도<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알리며 항일 여론을 고조시켰다.

헤이그 특사의 도전과 좌절

고종은 <을사늑약>이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1907년 헤이그에서 열리는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한다. 비록 특사들은 회의장 안에 들어갈 수는 없었지만, 각국 대표들에게 탄원서를 제출하고, 『만국평화회의보』와 각국 신문기자단이 모인 국제협회에 한국 정부의 입장을 알리는 등 외교적 노력을 펼쳤다.

고종과 중명전

1904년 4월 경운궁(현 덕수궁)에서 일어난 대화재는 고종과 중명전이 인연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 함녕전에서 발생한 불길이 경운궁의 주요 전각을 모두 태워버리자 고종은 황급히 중명전으로 몸을 피했다. 이후 1907년 아들 순종에게 황제의 자리를 넘겨줄 때까지 약 3년 반 동안 고종은 주로 중명전에서 국사를 처리하였다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1-11
면적 대지 2,399㎡ (727평), 건축면적 877.8㎡ (236평)
내용 황실도서관, 고종 거처, 을사늑약 강제, 헤이그 특사 파견 장소
활용 전시실 및 문화유산국민신탁 사무실
연혁 1897년 정동여학당 터에 황실도서관 중명전 준공
1901년 중명전 화재, 재건
1904년 경운궁(현 덕수궁) 대화재 / 고종(광무황제) 중명전으로 거처 옮김
1905년 을사늑약 강제
1907년 4월 고종, 헤이그 특사 파견 / 8월 영친왕 황태자 책봉
1915년 외국인들의 사교 클럽으로 쓰임
1925년 화재로 전소, 재건
1963년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에게 기증
1976년 민간에 매각
1983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
2003년 정동극장 인수
2006년 문화재청 인수
2007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덕수궁에 편입
2010년 문화재청 중명전 복원 완료 / 문화유산국민신탁 사무국 및 전시관 운영
0a5f508550b6468067106c2c0d4e051f.jpg
0ed91317858e03b67ad059088d2cc495.jpg
0a5f508550b6468067106c2c0d4e051f.jpg
0ed91317858e03b67ad059088d2cc495.jpg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博多屋)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3길 14에 소재한 건물로 일제강점기 전주 최대의 번화한 일본인 상업지역에 지어졌던 상업건축물이다. 건물의 정확한 신축연대를 확인 할 수는 없으나 1920년대 말에 신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1992년 일본인 가네우찌 토시요시(金內利吉)에 의해 우동(소바)집으로 건립되었으며, 대지 면적은 76평, 건평은 60평이었다. 이 건물은 당시 전주에 들어선 최초의 대형 일식집이었다고 전해진다. 약 10여년 정도 식당으로 운영되다가 1940년 이 건물의 소유주가 남선수력전기주식회사로 바뀌면서 전기회사로 사용되었다. 정면 중앙 상부 박공면의 번개 모양 장식은 이때 만들어진 것으로 이 시기를 전후하여 입면에서 부분적인 변형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해방 이후 소유주가 몇 차례 바뀌면서 1층을 임대상가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벽을 철거하고 넓은 유리창과 셔터 박스 등을 설치하였다. 건립 당시 마룻바닥이었던 2층과 3층 바닥은 1970년대 콘크리트 슬래브로 변경되었다. 이후 1995년 완산 새마을 금고로 소유주가 바뀌고 이때 함석지붕을 현재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 지붕으로 바꾸었다. 건물의 좌측 후면은 신축 이후 증축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외벽 재료가 정면과 같은 것으로 보아 해방 이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층 좌측면의 부속 건물은 해방 이후 덧대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은 지역 주요 기관과 함께 공공활용을 목적으로 활용계획 중에 있다.

소재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3길 14 (중앙동2가)
면적 1동, 3층 연면적 608.52㎡
내용 전북 전주의 최초 대형 일식집
활용 -
연혁 2022년 7월 6일 전주 박다옥 관리단체 지정
80071be3c670b3be8277e47ab0d0352f.jpg
ed9db60799da8a824ce195d54d8a4883.jpg
5487de9c8db5f1f13b3b842aa6865304.JPG
dadc3194dcd045185166639b2ac17668.JPG
3f00e1c603a0be1cf6fb74617d5b9421.jpg
80071be3c670b3be8277e47ab0d0352f.jpg
ed9db60799da8a824ce195d54d8a4883.jpg
5487de9c8db5f1f13b3b842aa6865304.JPG
dadc3194dcd045185166639b2ac17668.JPG
3f00e1c603a0be1cf6fb74617d5b9421.jpg

인천 조흥상회

인천 배다리는 우리나라 근대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인천 동구 일대는 인천항 개항과 맞물려 일본군들이 인천 중구 개항장 일대에 주둔하면서 마을이 형성됐다. 첫 근대 철도인 경인철도의 첫 삽을 뜬 곳이 현재의 우각리(도원역 인근)였고, 인천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인 영화초등학교와 인천 최초 공립초등학교인 창영초등학교가 설립되며 근대 교육이 싹튼 곳도 배다리였다. 인천 최초의 만세운동이 일어난 곳도 배다리 일대였다. 인천 조흥상회의 건립 연도는 정확히 알 수 있는 자료가 없다. 하지만 1948년 미군 노릅 파이어가 촬영한 사진이 남아있어서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 조흥상회는 지하철 1호선 동인천역과 도원역 사이 경인선 철길 아래에 있던 조흥상회는 과거에 쌀과 제사용품 등을 팔던 곳이었다. 조흥상회의 이름은 가게 주인인 고 조종택씨가 조(趙)씨 일가의 번영(흥(興))을 바라는 의미에서 붙였다. 인천의 번화가에서 운영하던 인천 조흥상회는 80년대 이후 신도시 개발전략이 시행됨에 따라 점차 상업 중심지에서 밀려나게 되고, 문을 닫는다. 방치되어있던 인천 조흥상회를 활용하기 위해 2012년에 달이네가 들어선다. 달이네 1층은 게스트하우스로 사용되고, 손님맞이 방, 나비날다 책방과 문화 프로그램을 같이 진행한다. 2층은 생활사 전시관으로 꾸며둔 상태이다. 50년대 배다리의 생활 모습을 재현해 놓았으며, 당시 배다리를 촬영한 사진, 물건들이 놓여있다. 당초 조흥상회에는 2층에 일본식 다다미방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제기용품이나 과일, 과자 등이 잔뜩 있었다고 한다. 조흥상회 사이 문을 통과하면 뒤쪽으로 한옥 한 채와 측면에 창고가 있다. 창고에서는 제수용 과자와 옥춘, 약과 등을 만들었다고 한다. 당시 조흥상회를 이용했던 분의 말을 들어보면 조흥상회를 배다리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장사가 잘됐었다고 한다. 현재 조흥상회는 지역 문화예술 단체 및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활용을 계획 중에 있다.

소재지 인천 동구 송림로8
면적 대지 264.4㎡(건축연면적 : 225.4㎡)
내용 인천 상업의 중심지, 배다리 위치
활용 -
연혁 2019년 12월 26일 긴급매입
2020년 3월 2일 인천 조흥상회 관리단체 지정
보수공사 및 활용계획 수립 중